최근 강아지 불법 번식장의 주인이 알고보니 반려동물과 교수라는 기사가 떳습니다. 이 불법번식장을 발견하고 실체를 파악한 동물단체는 충남 보령과 대전의 번식장 및 경매장에서 약 600마리의 유기된 강아지들을 발견했고 그 시설은 각종 음식쓰레기와 배변이 뒹구는 매우 열악하고 더러운 환경이였다고 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불법번식장에서 태어난 강아지들을 합법적인 번식이였던 것처럼 펫샵에 유통시키는 소위 '이력 세탁'의 주범이 한 지방대 반려동물과의 교수 홍씨였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동물보호단체는 “조작된 서류는 낙찰 받은 펫숍에 전달되며, 강아지를 분양받은 최종 소비자도 합법적인 경로로 반려동물을 분양받았다고 생각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이번에 적발된 곳을 포함한 불법 번식장들은 모두 동물보호법 위반 혐의로 고발된 상태입니다. 경매장에서 관리카드를 조작할 만큼 불법 행위가 판치고 있었지만, 단속은 전무했습니다. 단속 주체인 지자체 및 나라에서 반려동물 유통에 좀 더 관심을 갖고 관리,감독 한다면 많은 개들이 고통받고 있는 불법번식장의 문제도 해결될 것입니다. 오늘은 반려동물 입양에 있어서 매매를 통한 입양이 어떤 문제점을 갖고 있는지에 대해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져보기로 합니다.
반려동물 입양? '매매'만이 답일까?
반려동물 입양은 동물들에게 따뜻한 가정과 사랑을 제공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입양 과정에서 매매를 통한 입양은 논란이 있는 주제입니다. 매매를 통해 반려동물을 입양하는 경우에는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동물의 웰빙과 건강 문제:
매매를 통해 입양된 동물은 육식 산업이나 불법 번식장 등에서 온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곳에서는 동물들이 불건전한 환경에서 살아야 하며, 종종 적절한 건강 관리를 받지 못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동물들은 유전적인 질환, 신체적 손상 및 사회화 문제 등을 겪을 수 있습니다.
2.동물의 유기와 버려짐 문제:
매매를 통해 반려동물을 입양하는 경우에는 동물을 소유자가 마음에 안 들어서 또는 관리하기 어려워지면 버릴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이로 인해 동물의 유기 문제가 심각해지고, 보호소나 구조 기관들은 지속적인 유기 동물들을 보호하고 돌보는데 많은 자원과 시간이 소요됩니다.
3.불법 번식장 지지:
매매를 통해 동물을 입양하는 경우 불법 번식장 등이 지지되고 활성화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번식장에서는 이윤을 위해 건강하지 않은 동물들을 무리하게 번식시키고, 이로 인해 광범위한 유전적 문제와 유기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4.이윤 추구 문제:
매매를 통해 입양하는 경우, 동물들을 양도하는 사람들이 이윤을 추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로 인해 반려동물이 동전처럼 취급되어 그들의 가치가 일반 상품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동물의 본래 가치를 잊게 될 수 있습니다.
5.개인의 능력과 책임 부족 문제:
동물은 적절한 관리와 사랑을 받아야 합니다. 하지만 매매를 통해 입양하는 경우, 반려동물을 산 사람들이 그들에게 책임감과 능력이 부족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동물의 건강과 행복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6.반려동물 무분별 증식 문제:
매매를 통해 입양된 동물들이 쉽게 번식하게 될 경우, 무분별한 증식으로 인해 과도한 반려동물들이 생산되게 됩니다. 이는 반려동물 유기 문제를 가속화하고 자원낭비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7.윤리적 문제:
매매를 통해 동물을 입양하는 것은 윤리적인 측면에서도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동물들은 가족 구성원으로서 존중받아야 하며, 이들을 상품으로 취급하는 것은 윤리적으로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매매를 통해 반려동물을 입양하는 것은 다양한 문제점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입양을 장려하고 보호소 등에서 입양하는 것을 선호해야 합니다. 또한, 유기 동물 문제와 불법 번식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관련 법규를 강화하고 사회적 인식을 높이는 등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반려동물 입양은 동물들에게 적절한 가정과 사랑을 제공하는 것이 최우선 과제여야 합니다.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만금 잼버리 사태, 무엇이 문제인가? (1) | 2023.08.09 |
---|---|
한 해 3000명 이상 노인 극단적 선택…노인자살 실태 (1) | 2023.08.03 |
파이어족(FIRE)이란? (1) | 2023.08.02 |
발달장애 유형 (0) | 2023.07.31 |
미세플라스틱 발생원인, 위험성 등에 대해 (0) | 2023.0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