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드라마&영화

드라마 시나리오 잘 쓰는법

반응형

넷플릭스등 다양한 OTT플랫폼을 통해 사랑 받고 있는 한류드라마! 드라마 한편으로 한국이라는 나라를 알리고 여러나라의 관광객을 유입시키는 지대한 공을 세우고 있는데요. 김은숙, 박해영, 김수현, 김은희 작가님 처럼 이름만 들어도 작품을 떠올리게 하는 유명 히트 작가님들도 점점 늘어나고 있습니다.

오늘은 이렇게 유명한 드라마 작가가 되기 위해 드라마 시나리오 잘 쓰는 방법에 대해 포스팅을 하고자 합니다. 시나리오 작성은 창의적인 이야기를 구성하고 감정을 전달하는 예술적인 작업이기 때문에 생각할 것이 많습니다.  드라마 시나리오 작성을 위한 10가지 이상의 방법과 팁을 보겠습니다!

 

1.아이디어 발굴: 좋은 드라마 시나리오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필요합니다. 일상 생활에서 영감을 받거나 관심 있는 주제를 찾아 연구하고 아이디어를 발굴하는 데 시간을 투자하세요. 독특하고 흥미로운 아이디어가 작품의 토대를 마련할 수 있습니다.

 

2.캐릭터 개발: 강력하고 사랑받는 드라마는 흥미로운 캐릭터들을 가지고 있습니다. 각 캐릭터에게 독특한 개성과 목표, 갈등을 부여하여 그들의 이야기와 성장을 그려내세요. 깊이 있는 캐릭터들이 시청자들에게 감정적인 연결을 형성할 수 있습니다.

 

3. 구조와 플롯: 드라마 시나리오 작성은 명확한 구조와 흥미로운 플롯이 필요합니다. 적절한 긴장감과 반전, 갈등, 전개를 통해 시청자들의 관심을 끌고 이야기를 흥미롭게 유지하세요. 다양한 서브플롯과 스토리 아크를 활용하여 작품을 풍성하게 만들어보세요.

4. 대사 쓰기: 대사는 캐릭터의 성격과 감정을 전달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자연스러운 대화를 구사하면서도 감정과 의도를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대사는 캐릭터 간의 상호작용과 스토리의 진전을 돕는 역할을 하므로, 신중하게 작성하세요.

 

5. 설정과 배경: 작품의 설정과 배경은 드라마의 분위기와 특색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설정을 통해 시대, 장소, 사회적 배경 등을 명확하게 설정하고, 작품의 전반적인 분위기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데 신경을 써야 합니다.

 

6. 감정과 감성: 드라마는 감정과 감성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매체입니다. 시청자들의 공감과 감동을 이끌어내기 위해 캐릭터들의 감정을 섬세하게 묘사하고, 중요한 순간들에 감정의 변화와 극적인 효과를 넣어보세요. 작품의 감성을 강조하는 음악과 조명, 연출 등도 고려해야 합니다.

 

7. 리서치와 배경지식: 작품에 필요한 배경지식과 연구는 작품의 신뢰성과 일관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작품의 설정과 주제에 관련된 리서치를 수행하고, 실제 사건이나 상황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여 작품에 반영하세요. 이를 통해 작품의 신뢰도와 현실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8. 피드백 받기: 작품 작성 중에는 다른 사람들의 피드백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신뢰할 만한 동료나 근처 사람들에게 시나리오를 읽어보고 의견을 구하세요. 그들의 피드백은 작품을 발전시키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9. 재고와 수정: 작품을 완성한 후에도 반복적인 재고와 수정 과정이 필요합니다. 작품을 여러 번 읽고 분석하며, 흐름과 감정의 전달, 구조 등을 개선해보세요. 작은 수정들이 전체 작품의 퀄리티를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10. 시나리오 포맷과 양식: 드라마 시나리오는 특정한 포맷과 양식을 따라야 합니다. 시청자들과 제작자들이 쉽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적절한 포맷과 양식을 사용하세요. 드라마 시나리오 작성 도구나 템플릿을 활용하여 일관성 있고 전문적인 양식을 만들어보세요.

 

드라마 시나리오 작성은 창의성과 전략적인 사고, 감정과 의미를 전달하는 능력을 요구하는 작업입니다. 위의 팁을 활용하면 좋은 아이디어와 감동적인 이야기를 가진 작품을 작성할 수 있을 것입니다. 계속해서 연습하고 발전시키며, 다양한 작품을 읽고 연구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반응형

'드라마&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일의낭군님(2018, tvn드라마)  (0) 2023.10.03
tvn 작은아씨들(2022) 감상평  (0) 2023.09.18
슬픔의 삼각형(2023)  (1) 2023.08.31
콘크리트유토피아(2023) 관람 후기  (2) 2023.08.21
또 오해영(2016)  (0) 2023.06.29